안녕하세요. 교수님 일단 이렇게 서면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매우 감사합니다. 아래에 준비된 질문 문항들이 몇가지 있는데요. 읽어보시고 질문과 관련이 있어도 되고, 따로 하시고 싶으신 말씀이 있으시면 질문과 무관하게 따로 적어 주셔도 됩니다. 작성해야 답신 메일을 주시면 홈페이지에 올릴 글을 다시 정리하고 교수님께 다시 보내 드려 확인 과정을 거칠 예정이니 편하게 원하시는 말 적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Q1. 교수님께서는 책이나 강연, 방송 등으로 일반 시민들께도 인지도가 굉장히 높으신 편인데, 그런 것에 비하여 교수님께서 정확히 어떤 것을 연구하시는 지를 제대로 아는 사람은 적은 것 같아요. 혹시 연구하고 계시는 분야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 부탁 드릴 수 있을까요?
제가 하는 연구는 ‘의사결정 신경과학’(Decision Neuroscience)입니다. ‘우리가 선택을 할 때 뇌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는가?’를 탐구하고 있습니다. 이 순간 EEG, fMRI 등을 이용해서 정교하게 connectome을 얻거나 촬영하고, Complex network theory, nonlinear dynamics 라는 학문적 틀을 이용해서 궁극적으로는 Brain dynamics를 만들어내는 기본 원리 (fundamental principles)를 찾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가상의 뇌를 만들어 여러 시뮬레이션을 함께 하고 있기 때문에 저희 분야를 ‘computational neuroscience’(계산신경과학)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을 임상이나 공학에 응용하는 연구도 함께 하고 있습니다. 카이스트에 오기 전에는 의대 정신과에서 연구원과 교수를 했기 때문에, 주로 정신질환자들의 의사결정 장애를 연구했지요. 예를 들어, 우울증 환자의 자살행동이나 중독환자의 습관적 선택 행동 등이요. 지금은 공대에 있기에, 학생들과 Brain-machine interface (뇌-기계 인터페이스, 인간의 의사결정을 뇌활동을 통해 읽은 후 기계가 대신 역할을 수행하는 기술)과 Brain-inspired A.I. (사람처럼 상황을 판단하고 인간과 상호작용하면서 의사결정하는 시스템)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Q2. 최근에는 Nature지에 논문을 올리신 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것은 어떤 내용인지 간략하게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정신의학계에서는 외상후 증후군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오래된 치료법이 하나 있습니다. 공포기억을 회상하면서 눈을 좌우로 돌리는 행위를 반복하면 공포기억이 소멸된다는 것인데요(EMDR,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sing), 1989년 샤피로라는 학자에 의해 처음 알려졌습니다. 외상후 증후군 환자들에게 임상적인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여러 차례 보고되면서 많이 활용되고 있었는데, 아직 그 메커니즘을 밝힌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었습니다. 그런데 저희가 이번에 그 메커니즘을 밝혀 네이처(2019)에 논문을 출간하게 된 것입니다.
이 연구가 어려운 건, EMDR을 하는 동안 환자의 두개골 안의 뇌활동을 정교하게 측정하기 어렵고, 그렇다고 동물을 대상으로 실험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아서 였는데요, 저희가 이번에 기발한 아이디어를 착안해 실험이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실린더형 원통에 쥐를 넣어두고 LED를 일렬로 배치해 좌우로 빛이 이동하게 해서 공포기억을 가진 쥐로 하여금 눈의 좌우를 돌리게 한 것입니다. 그랬더니 공포기억이 2-3일 만에 소멸하게 됐지요. 그 과정에서 뇌활동을 살펴보니, 눈을 돌리면 superior colliculus 를 통해 감정을 조절하는 영역이 자극을 받게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입니다.
본 실험은 기초과학연구원의 신희섭 박사님 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진행했는데요, 신희섭 박사님이 이런 아이디어를 처음 내시고 실험을 했는데 계속 제대로 된 결과를 내지 못하다가, 저희 연구실 백진희 학생이 다른 실험을 하기 위해 그 연구실에 머물고 있다가 우연히 이 실험에 참여하게 되어 결국 노력 끝에 좋은 결과를 만들어내게 됐습니다.
Q3. 교수님께서는 KAIST에서 물리학으로 박사 과정을 마치시고 그 이후에 의대정신과를 거쳐서 지금은 뇌 과학에 관련된 분야로 연구를 하고 계시는데요. 이렇게 분야를 바꾸게 되신 계기가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저는 물리학자로서의 자의식은 강하게 남아있는 것 같아요. 다양한 뇌활동 및 현상 기저의 근본원리를 찾는데 훨씬 더 관심이 많고, 실험 자체 보다는 우리가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뇌를 마음대로 조절하거나 통제하는 접근을 선호하고요. 그래서 실험하는 연구실과 공동연구를 하거나 대규모 open source data 를 분석하고 있지요.
그런데 박사과정 3년차때, 그리고 미국에 박사 후 연구원으로 의대 정신과에 가면서 정신병동의 환자들을 직접 경험하면서, 이런 순수한 과학 연구들이 궁극적으로는 임상적으로 환자를 치료하거나 공학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어야 한다는 생각을 강하게 하게 됐습니다. 그래서 연구의 50% 이상을 임상연구, 공학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Q4. 지금 교수님이 연구하고 계시는 분야만의 매력이나 앞으로의 비전에 대해서 어떤 것들을 이야기할 수 있을까요?
저는 신경과학이 앞으로 랩 단위의 실험보다는 대규모 실험을 통한 접근, 그리고 그것을 인공지능 등을 활용한 분석과 모델링으로 발전하리라 생각합니다. 이미 그런 징조들이 있지요. 여러 병원에서 얻은 환자 수만 명의 유전자 데이터, 뇌파나 MRI데이터를 활용해 연구를 하고 논문을 쓰고 있습니다. 그런 측면에서 connectome data 분석, complex network analysis and nonlinear dynamical analysis 등 고급 분석 기법 적용, 컴퓨터 모델링 접근이 매우 유용한 접근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신경과학 분야 안에서 ‘의사결정’은 가장 중요한 연구 주제가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아직은 신경과학 분야 중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쪽은 시각 연구, 학습과 기억 등이지만, 결국 주의집중, 감정 그리고 의사결정으로 이어지는 고등한 사고로 확장되리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것은 신경과학의 범위 안에 머물지 않고, 뇌-기계 인터페이스, 뇌 기반 인공지능 등 다양한 뇌인지공학 분야로 확장될 것이라 생각하며, 20-30년 후에는 이 분야가 가장 화려하게 꽃피는 분야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우리 연구실은 오늘도 2050년 미래를 미리, 날마다 경험하고 있습니다.
Q5. 교수님께서는 연구 말고도 유려한 말솜씨로도 알려져 있으세요. 교수님 수업이나 강연을 들은 분들로부터 말도 정말 잘하시고 수업 / 강연을 참 재미있게 해주신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교수님께서 이런 말솜씨를 기르는 데에 어떤 것들이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하시나요?
이런 질문을 받으면 쑥스럽지만, 누구나 지금보다 조금 더 말을 제대로 하려면, 머릿속에서 생각과 개념들이 잘 정리되어 있어야 한다고 조언을 드리고 싶어요.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거나 개념이 정돈되어 있지 못하면, 중언부언 헤매게 되지요. 개념이나 예제, 의미 등이 제대로 정리되어 있으면, 어떤 방식으로 무얼 묻더라도 핵심으로 바로 들어가서 명쾌하게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러지 않은 상태에서, 말하는 법만 연습하면 나중에는 사람들과 ‘빈 대화’만 나눌 가능성이 높지요.
Q6. 또 교수님 이야기를 하자면 교수님의 저서를 빼먹을 수 없는데요. 국민 과학 교양서라고도 할 수 있는 [과학콘서트]는 물론이고요. 얼마전에는 최근 저서 중 하나인 [열두 발자국]이 양주시, 충주시, 대구시의 올해의 책으로 선정되기도 했는데요. 책과 독서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사실은 카이스트에 온 이후로 연구하느라 책을 낼 시간이 별로 없었습니다. [정재승의 과학콘서트]를 낸지 17년만에 혼자 쓰는 단독저서인 [열두 발자국]을 겨우 냈으니까요. 하지만 책을 준비하는 동안 약 1,000여권 정도의 책을 읽을 수밖에 없는데, 그 과정이 우리에게 영감과 통찰을 제공합니다. 저는 우리 학과 학생들이 언젠가는 자신의 분야에 대한 책을 써보길 권해드립니다. 가장 훌륭한 독서는 책을 직접 써보는 일이니까요. 마치 가르치는 과정이 가장 잘 배우는 과정인 것처럼요.
Q7. 이렇게 다양한 분야에서 교수님 만의 발자취를 남긴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닐 것 같아요. 그동안 연구나 연구 외적인 부분에서 가장 힘들었던 것은 무엇인지, 그것을 어떻게 이겨냈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제가 어렸을 때에는 어른들이 ‘한 우물을 파라’고 했어요. 학계는 보수적이었고, 연구실에서 실험을 하고 논문을 쓰는 일 외에는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고요. 그런 관점에서 저는 평범한 교수 혹은 학자가 아니지요. 그러다 보니 학생들도 쉽게 짐작할 수 있는 비판이나 비난을 받기도 했고요.
다행히 저는 시도했던 분야들에서 나름의 성취들을 이루어 조금씩 칭찬을 받기 시작했지만, 설령 누군가는 그런 성취를 얻지 못했더라도, 한 우물을 파지 않고 분야간의 지류를 만들어주길 기대합니다. 또 학자들이 하고 있는 연구가 어떤 의미인지 사회에 환원해주는 작업에도 꾸준히 노력을 기울였으면 좋겠어요. 학자나 교수, 연구자라는 전형적인 스테레오타입이 아니라, 내가 정의한 나의 정체성으로 세상을 살아가는 존재가 되어가기를 희망합니다.
Q8. 마지막으로 이 글을 읽으며 연구자의 길을 걷고 있거나 연구자로서의 꿈을 꾸고 있는 학생들에게 한 마디 전한다면?
매주 화요일 목요일 오후에 우리 연구실 학생들과 랩미팅을 하고 있는데, 끝나고 나면 1-2명 정도 학부생이나 외부인들과 면담 신청을 받아 대화를 나누고 있어요. 물론 아주 많은 사람들이 신청해서 좀 밀려있긴 하지요 그 시간에 학부생들과 가끔 만나 차 한잔 하면서 고민 나누는 시간 가졌으면 좋겠어요. 진로이든 꿈이든 연애이든. 학교에 있는 동안 교수들을 많이 활용하세요. 감사합니다.
김태현 기자(gth0918@kaist.ac.kr)
-
[학과 교수 취재] 박성준 교수
<박성준 교수> 이번 달에는 2023년 우수과학자포상의 젊은 과학자상을 수상하신 박성준 교수님과 인터...
2023-11-27 -
[학생 인터뷰] 안진현 박사, 딥러닝 모델을 통해 면역 ...
<연구 관련 내용 대표 이미지> <안진현 박사> 이번 달은 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학과 최정균 교...
2023-10-24 -
새내기를 위한 학과 선택 가이드
https://www.youtube.com/watch?v=_mNbw3_o5jM [새내기를 위한 학과 선택 가이드] 취업 잘 되는 과로 가는게...
2023-09-07 -
[학과 교수 취재] 이혜선 교수
<이혜선 교수> 이번 달에는 올해 6월 우리 학과에 새로 부임하신 이혜선 교수님을 취재하였습니다. 이...
2023-09-04 -
[학과 교수 취재] 강형률 교수
<강형률 교수> 이번 인터뷰는 새로이 바이오 및 뇌공학과에 부임하신 강형률 교수님과 진행해보았습니...
2023-09-01 -
[과학 산책] 정기훈 교수님, ‘BioMEMS/NEMS’ 기술을 기...
<정기훈 교수님> ‘과학 산책’ 시리즈는 교수님과의 인터뷰를 통해 바이오및뇌공학과의 다양한 연구 분...
2023-08-04 -
[학과 연구성과 취재] 김정연 박사
<김정연 박사> 이번 달은 바이오 및 뇌공학과 교수님 연구실에서 연구하고 계신 김정연 박사님과 인터...
2023-08-01 -
[학과 연구성과 취재] 김효민 박사과정 학생
<김효민 박사과정 학생> 이번 달에는 올해 2월 Aging Cell에 ‘Glycation-mediated Tissue-level Remod...
2023-07-03 -
[학과 연구성과 취재] 성창훈 박사과정 학생
<성창훈 박사과정 학생> 이번 달에는 올해 4월 Nature Communications에 ‘Highly conductive tissue-l...
2023-07-03 -
[학과 교수 취재] 신우정 교수
<바이오및뇌공학과 신우정 교수> 이번 달에는 올해 3월 우리 학과에 새로 부임하신 신우정 교수님을 ...
2023-05-31 -
[학과 연구 성과] 권준하 선생님
<권준하 박사님> 이번 달은 바이오 및 뇌공학과 최정균 교수님 연구실에서 연구하고 계신 권준하 박사...
2023-05-29 -
[학생 인터뷰] 오찬희 박사과정생, 나노입자를 이용한 ...
<그림. 오찬희 박사과정분이 개발한 새로운 흡입성 폐암치료제의 작용기작> 오늘은 바이오 및 뇌공학...
2023-04-27 -
[학과 교수 취재] 정아인 교수
<정아인 교수> 이번 인터뷰는 새로이 바이오 및 뇌공학과에 부임하신 정아인 교수님과 진행해보았습니...
2023-04-27 -
[학과 교수 취재] 손성민 교수
<손성민 교수> 이번 달에는 작년 7월 우리 학과에 새로 부임하신 손성민 교수님을 취재하였습니다. 손...
2023-03-30 -
[학생 인터뷰] 확산 강조 동맥스핀표지 기법을 사용한 ...
<사구체 혈액 전달 속도 분석 모델> 1. 안녕하세요, 먼저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바이오...
2023-02-23 -
[학생 인터뷰] 김하영 박사과정생, 단백질 복합체 구조...
<스코어링 모델> 1. 안녕하세요,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바이오및뇌공학과 김동섭 교수...
2023-02-22 -
[과학산책] 박성홍 교수, 뇌 노폐물 배출의 영상화
바이오및뇌공학과의 다양한 연구 분야를 교수님과의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는 ‘과학 산책’ 시리즈입니다. 이...
2023-02-01 -
[학생 인터뷰] 김정연 박사과정생, mRNA 암백신 핵심기...
<mRNA 암백신 핵심기술> Q1. 안녕하세요,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카이스트 바이오...
2023-01-19 -
[학생 인터뷰] 2022년 가을학기 학과 상담 조교, 윤주...
<바이오및뇌공학과> 1.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번 인터뷰에서는 학과 학생들의 여러가지 ...
2023-01-02 -
[학생 인터뷰] 문채영 박사과정생, 다중작업학습을 통...
<다중작업학습을 통한 저분자 화합물과 단백질 결합 예측> Q1.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
2022-12-28 -
[학생 인터뷰] Huan Minh Luu 박사과정, 다중 대조도 M...
<모델 기반 딥러닝 활용 샘플링 패턴 최적화> Q1.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먼저 자기소개 ...
2022-12-01 -
[학생 인터뷰] Muhammad 박사과정생, 혈관 MRI 이미지...
<혈관 MRI 이미지를 이용한 관류 MRI 이미지 예측 모델 > Q1.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먼...
2022-11-29 -
[학생 인터뷰] 정문경 박사 후 과정 연구원, 류마티스 ...
<류마티스 관절염 차료용 다공성 실리콘 입자 기반 약문 전달 시스템> Q1. 안녕하세요, 먼저 자기소개...
2022-10-31 -
[학생 인터뷰] 권준하 박사, 유전체 분석을 통한 공격...
<공격성 섬유종증의 화학적 항암요법 치료 효과 예측 모델> Q1.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2022-10-31 -
[학생인터뷰] 이종훈 박사과정 학생, 암세포 유전체 정...
<암세포 유전체 정보 및 분자 네트워크 동역학 분석을 통한 약물 타겟 제시> 1. 안녕하세요, 먼저 자...
2022-10-04 -
[학생 인터뷰] 강준영 박사, 기억인출 과정동안 뇌의 ...
<뇌의 해마에서 나타나는 기억 강화 관련 신경 표상> Q1.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먼저 자...
2022-09-26 -
[학생 인터뷰] 이정민 박사, ‘가십’ 행위가 사회적 목...
<사회적 정보를 인풋으로 받아서 여러 내부 프로세스를 거쳐 처리되는 과정을 담은 이론 모델> 이번 ...
2022-08-30 -
[학생 인터뷰] 정문경 박사과정 학생, 지질나노입자를 ...
<연구 내용 관련 대표 이미지> Q1.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먼저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
2022-08-26 -
[학생 인터뷰] 임재근 박사과정생, 뇌 활동 중 뇌척수...
<연구 내용 관련 대표 이미지> 이번 달에는 최근 “Measurement of CSF pulsation from EPI-based huma...
2022-08-01 -
[과학산책] 김동섭 교수, 구조생물학과 AI
<구조생물학과 AI〉 바이오및뇌공학과의 다양한 연구 분야를 교수님과의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는 ‘과학 ...
2022-08-01 -
[학생 인터뷰] 윤동조 박사과정생, 폴리도파민 화학적 ...
<연구 내용 관련 대표 이미지> 이번 달에는 최근 “Enhancement of Thermoplasmonic Neural Modulati...
2022-06-29 -
[학생 인터뷰] 방효은 박사과정 학생, 항암 면역반응을...
<연구 내용 관련 대표 이미지> Q1.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먼저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
2022-06-24 -
[학생 인터뷰] 박항익 박사과정생, 향정신병제제인 tri...
<연구 내용 관련 대표 이미지> 이번 달에는 최근 “Trifluoperazine and Its Analog Suppressed the Tu...
2022-05-30 -
[학생 인터뷰] 강의룡 박사과정 학생, 브레인 네트워크...
<연구 내용 관련 대표 이미지> 1. 안녕하세요, 먼저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카이스...
2022-05-25 -
[학생 인터뷰] 권재명 석사과정 학생, 3D 생체 이미징 ...
<연구 관련 내용 대표 이미지> 이번 학생 인터뷰에서는 3D 생체 이미징을 개발하고 이를 구강 스캐너...
2022-05-02 -
[학생 인터뷰] 전재훈 석사과정생, 고속 이미징이 가능...
<연구 내용 관련 대표 이미지> 이번 달에는 최근 “Handheld laser scanning microscope catheter for ...
2022-05-02 -
[학생 인터뷰] 박성용 박사과정 학생, 삼중음성 유방암...
<연구 내용 관련 대표 이미지> 이번 학생 인터뷰에서는 최근에 국제 학술지 ‘Cancers’에 게재된 삼중...
2022-03-29 -
[학생 인터뷰] Luu Minh-Huan 박사과정생, MICCAI/ASNR...
<본 연구팀이 제안한 뇌종양 구획화 모델 대표 이미지(위), BraTS 대회 딥러닝 모델성능 순위(아래)> ...
2022-03-28 -
[학생인터뷰] 이도헌 교수님 연구팀, Heart Disease AI...
<임수린, 김관수, 김유태, 한만영 학생의 Heart Disease AI Datathon 2021 대회 수상 장면> 바이오및...
2022-03-03 -
[학생 인터뷰] 김동재 박사 졸업생, 인공지능의 오랜 ...
<김동재 박사> Q1) 안녕하세요 김동재 박사님, 바쁘신 와중에 인터뷰를 허락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2022-02-07 -
[과학산책] 생체모사 디지털나노시스템에 대하여
〈생체모사 디지털나노시스템〉 바이오및뇌공학과의 다양한 연구 분야에 대해 교수님과의 인터뷰를 통해 알...
2022-01-21 -
[학생 인터뷰] 김수지 박사과정 학생, 새로운 바이오 ...
〈연구 내용 관련 대표 이미지〉 이번 학생 인터뷰에서는 최근 국제 학술지 ‘Advanced Materials Technologi...
2022-01-13 -
[학생 인터뷰] 최새롬 박사과정 학생, 암세포의 성질을...
〈최새롬 박사과정〉 Q1) 안녕하세요 최새롬 선생님, 바쁘신 와중에 인터뷰를 허락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2022-01-05 -
[학생 인터뷰] 윤동조 박사과정 학생, 비표지 3차원 신...
〈3차원으로 촬영된 신경세포의 발달과정〉 이번 학생 인터뷰에서는 최근 국제 학술지 ‘Biomedical Optics E...
2021-12-02 -
[학생 인터뷰] 장재선 박사 졸업생, 다학제적 접근 통...
<장재선 박사 졸업생> Q1) 안녕하세요 장재선 박사님, 바쁘신 와중에 인터뷰를 허락해 주셔서 감사드...
2021-12-02 -
[학생 인터뷰] 배상인 박사 졸업생, 4D 촬영이 가능한 ...
<4D 초박형 라이트필드 카메라> 이번 학생 인터뷰에서는 최근 언론과 국제 학술지 ‘Advanced Optical ...
2021-11-02 -
[학생 인터뷰] 2021년 가을학기 학과 상담 조교장, 배...
<바이오및뇌공학과> 이번 달에는 이번 학기 저희 학과 상담 조교장을 맡고 계신 배효경 님과 인터뷰를...
2021-10-27 -
[학생 인터뷰] 석민호 박사과정 학생, 숨 쉬는 웨어러...
다공성 헤어셀 구조의 맥파센서 : (a) 맥파센서 상단면 현미경 사진; (b) 헤어셀 높이별(0um, 50um, 100um) ...
2021-09-27 -
[학과 교수 취재] 박성준 교수, 하이드로젤 기반 유연...
하이드로젤 기반 유연성 뇌-기계 인터페이스 Q1) 안녕하세요 박성준 교수님, 바쁘신 와중에 인터뷰를 허락해...
2021-09-15 -
[학생 인터뷰] 장경원 박사과정 학생, 곤충눈 모사 초...
<장경원 마이크로픽스 대표> 이번 달에는 곤충눈 모사 초박형 카메라에 관해 연구하시고 해당 기술로 ...
2021-09-06 -
[학생 인터뷰] 송준영 박사과정 학생, 인공위성 영상의...
<송준영 박사과정 학생> 이번달에는 IEEE Tra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에 발표된 송준영 ...
2021-08-31 -
[학과 교수 취재] 백세범 교수, 카이스트 싱귤레러티 ...
<백세범 교수> 이번 달에는 카이스트에서 처음 시도하는 임용 후 10~20년간 논문 평가를 받지 않는 싱...
2021-08-31 -
[과학산책] 조광현 교수님, 역노화 원천기술 개발
<조광현 교수> 이번 [과학산책]에서는 바이오및뇌공학과 조광현 교수님과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
2021-07-12 -
[학과 교수 취재] 이상완 교수, IBM 학술상 수상
<이상완 교수> 이번 달에는 미국 IBM과 전 세계 유수 대학과의 연구 협력 활성화를 위해 제정된 상인 ...
2021-07-12 -
[학생 인터뷰] 박영진 박사과정 학생, 고효율 물체인식...
<박영진 박사과정 학생> 이번달에는 Neural Networks에 발표된 박영진 박사과정 학생의 물체 인식에 ...
2021-07-05 -
[봄학기 CA 취재] 2021년 봄학기 학과 상담 조교장, 장...
<바이오및뇌공학과> 이번달에는 이번학기 저희 학과 상담 조교장을 맡고 계신 장민철 님과 인터뷰를 ...
2021-06-18 -
[학생 인터뷰] 강병훈 박사과정 학생, 실시간 나노플라...
(좌) 강병훈 박사과정 학생 (우) 정기훈 교수 실시간 나노플라즈모닉 PCR을 통한 초고속 분자진단 시스템 이...
2021-06-10 -
[학과 교수 취재] 이수현 교수, 뇌 복부선조영역의 새...
<이수현 교수> 이번 달에는 이수현 교수님과 4월 8일 Nature Communications에 개재된 연구 (논문명: ...
2021-05-06 -
[학과 교수 취재] 이영석 교수
<이영석 교수> 이번달에는 바이오및뇌공학과에 새로 부임하신 이영석 교수님을 취재하였습니다. 이영...
2021-04-14 -
[학과 교수 취재] 박성준 교수, 인공근육 재생을 위한 ...
이번 달에는 박성준 교수님과 2월 19 Advanced Material에 출판된 연구 (논문명: Functional skeletal muscl...
2021-04-01 -
[졸업생 취재] 이영범박사 (IBS 인지 및 사회성연구단)
<이영범 박사님>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에서 박사 과정을 마치시고 현재 기초과학연구원(IBS)에서 근...
2021-02-26 -
[학과 교수 취재] 최철희 교수, 엑소좀(Exosome)기반 ...
<최철희 교수> 이번 연구 성과 취재에서는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이자 ‘일리아스바이오로직스’의 CEO...
2021-02-26 -
[학생 인터뷰] 장용희, 조재욱 예비 창업팀, 쥐 뇌파 ...
< (왼쪽부터) 장용희, 조재욱 석사과정 > 이번에는 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학과/뇌인지공학 프로그램 ...
2021-01-29 -
[학생 인터뷰] 허재영, Shujaat Khan 예비창업팀, 딥러...
< (왼쪽부터) 허재영, Shujaat Khan 박사과정 > 이번에는 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학과/뇌인지공학 프로...
2021-01-04 -
[학생 인터뷰] 이동구, 송국호, 이찬석 예비창업팀, 휴...
<(왼쪽부터) 이동구 박사과정, 이찬석 석사과정, 송국호 석사과정 > 이번에는 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
2021-01-04 -
[학생 인터뷰] 이남주, 김한진, 박지성 예비창업팀, ‘...
<(왼쪽부터) 이남주 박사과정, 김한진 석사과정, 박지성 석사과정> 이번에는 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학...
2021-01-04 -
[학생 인터뷰] 이준철 박사 과정생, 튜불린을 이용한 ...
<(왼쪽부터)이준철 박사과정, Advanced Materials 표지 이미지, Small 후면 표지 이미지> 이번 연구 ...
2020-12-01 -
[과학산책] 이상완 교수, 딥러닝(Deep Learning)으로 ...
<이상완 교수> 이번 [과학산책] 인터뷰는 바이오 및 뇌공학과 이상완 교수님과 진행하였습니다. Q1. ...
2020-12-01 -
[학과 교수 취재] 박영균 교수
<박영균 교수> “누구도 가지 않았던 길을 가십시오.” 이번에 새로이 바이오및뇌공학과에 부임하신 박...
2020-11-02 -
[학생 인터뷰] 오유진 박사 과정생
<오유진 박사과정생 (가운데)> Q1. 우선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예종철 교...
2020-09-21 -
[학생 인터뷰] 김희곤 박사 후 과정 연구원
<김희곤 박사 후 과정 연구원> Q1. 우선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바이오및뇌...
2020-09-21 -
[학생 인터뷰] 2020년 봄학기 학과 상담 조교장. 김가...
Q1.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바이오 및 뇌공학과에서 학사, 석사를 졸업하고 현재...
2020-08-31 -
[학생 인터뷰] 김진우 학부생, 시각 피질의 주요 신경...
Q1.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바이오 및 뇌공학과와 전산학부를 복수 전공했고 이제 졸업...
2020-08-31 -
[학생 인터뷰] 오찬희 박사과정생, 혈관 조영제로 폐암...
이번 달에는 혈관 조영제로 폐암 종양 절제부위를 정확하게 구분하는 기술을 개발하신 박지호 교수님 연구실...
2020-08-03 -
[학생 인터뷰] 최우철 박사과정생, 뇌 절편 영상 자동 ...
이번 달에는 최근 실험용 쥐의 뇌 절편 영상을 자동으로 보정하고 규격화하여 신경세포의 3차원 분포정보를 ...
2020-07-10 -
[학과 교수 취재] 백세범 교수
이번 달에는 백세범 교수님과의 인터뷰를 진행해보았습니다. 백 교수님은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UC Ber...
2020-06-01 -
[학생 인터뷰] 김정연 석사과정생, 면역항암치료의 bio...
이번 달에는 최근 Nature Communications에 논문을 발표하신 최정균 교수님 연구실의 김정연 석사과정 학생...
2020-05-28 -
[학과 교수 취재] 박지호 교수
이번 달에는 생체 재료 분야에서 나노 의학 연구를 주로 진행하고 계시는 박지호 교수님과 인터뷰를 진행하...
2020-05-04 -
[학생 인터뷰] 서성훈 박사과정생, 딥러닝 통해 MRI 다...
(왼쪽부터 1저자 도원준 박사, 공동 1저자 서성훈 박사과정, 지도교수 박성홍 교수님) 이번 달에는 최근 Med...
2020-04-28 -
[학생 인터뷰] 장재선, 송민 박사과정생, 포유류 시각...
이번 달에는 최근 Cell Reports에 논문을 발표하신 백세범 교수님 연구실의 장재선, 송민 박사과정 학생분들...
2020-04-01 -
[학과 교수 취재] 김동섭 교수
이번 달에는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 분야에서 단백질의 구조와 서열에 대한 연구를 주로 진행하고 계시...
2020-03-11 -
[학과 교수 취재] 예종철 교수
이번달에는 IEEE Fellow 선정, Nature Machine Intelligence 게재, IEEE EMBS Distinguished Lecturer 선정...
2020-02-27 -
[학생 인터뷰] 김동재 박사과정생, 메타 강화학습 뇌 ...
이번 달에는 뇌인지공학프로그램 박사과정 김동재 학생 취재하였습니다. 김동재 박사과정생은 Caltech과 메...
2020-02-06 -
[과학산책] 정용 교수
이번 과학산책으로는 뇌/신경분야의 연구를 진행하고 계시는 정 용 교수님과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1. ...
2020-02-03 -
[과학산책] 박성홍 교수
이번달에는 Biomedical Imaging 분야에서 MRI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계시는 박성홍 교수님과 면담을 진행하였...
2020-02-03 -
[학과 교수 취재] 조광현 교수
[조광현 교수] 이번 달에는 시스템 생물학을 연구하시는 조광현 교수님을 취재하였습니다. 조광현 교수님이 ...
2020-01-21 -
[학생인터뷰] 황경민 현 “VPIX”대표이사
이번 인터뷰에서는 바이오 뇌공학과 정기훈 교수님 연구실 박사과정 황경민 현 “VPIX”대표이사님과의 인터뷰...
2019-12-26 -
[학과 교수 취재] 장무석 교수
이번 달에는 장무석 교수님을 취재하였습니다. 장무석 교수님은 카이스트 물리학과 학부를 졸업하시고 2016...
2019-11-13 -
[과학산책] 박제균 교수
MicroTAS(micro Total Analysis Systems)는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또는 microsystems tech...
2019-10-31 -
[과학산책] 이상완 교수
[과학산책] 이상완 교수 이번 달에는 KAIST 핵심 기술로 선정된 신경과학-인공지능 융합형 차세대 초고성능 ...
2019-10-20 -
[학과 교수 취재] 최정균 교수, 새로운 항암면역치료 ...
눈문링크: https://www.nature.com/articles/s41467-019-12159-9 이번 달에는 지난 9월 nature communicatio...
2019-10-15 -
[학생 인터뷰] 김준희 석사과정생, 공동저자로 Nature...
이번 달에는 nature에 ‘퇴행성 뇌 질환 유발 물질의 배출경로 규명’의 주제를 가지고 published 된 논문의 ...
2019-09-24 -
[과학산책] 이수현 교수
이수현교수님께서는 카이스트 물리학과를 졸업하시고, 서울대학교에서 생명과학 박사학위를 받으시고, 미국 ...
2019-08-20 -
[학생 인터뷰] 이현수 조교
이번 학과 취재 인터뷰는 2019년 봄학기 동안 CA(학사과정 학업 및 진로 상담) 활동하셨던 이현수 CA장을 인...
2019-08-05 -
[과학산책] 김필남 교수
Q1. 김필남교수님께서는 최근에 한국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펠로십을 수상하셨습니다. 펠로십은 앞...
2019-07-25 -
[졸업생취재] 신중호 교수(현, 부경대학교 의공학과)
신중호 교수님은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Dept. of Bioengineering에서 학사 학위를 받으시고 ...
2019-07-11 -
[학생 인터뷰] Maryam Yavartanoo / Yi Li
이번 달에는 바이오및뇌공학과 대학원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Maryam Yavartanoo와 Yi Li 학생과의 인터뷰를 ...
2019-06-26 -
[과학산책] 바이오인포매틱스 (Bioinformatics)
'과학산책' 시리즈는 바이오공학과 뇌공학의 다양한 분야에 대하여 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님들과 ...
2019-06-07 -
[졸업생취재] 이옥균 교수 (DGIST 로봇공학전공)
이옥균 교수님은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예종철 교수님 연구실에서 석사, 박사 과정을 마치시고 Johns Hopk...
2019-05-27 -
[학과 교수 취재] 김철 교수
인터뷰는 4월 22일 교수님의 오피스에서 진행되었다. 열려있는 문으로 가볍게 노크를 하고 들어가자 교수님...
2019-04-25 -
[학과 교수 취재] 박성준 교수
박성준 교수님은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에서 학사, MIT기계공학과에서 석사, 동 대학 전기컴퓨터공학과...
2019-04-15 -
[학과 교수 취재] 정재승 교수
안녕하세요. 교수님 일단 이렇게 서면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매우 감사합니다. 아래에 준비된 질문 문항들이 ...
2019-04-10 -
[졸업생취재] 김상우 교수 (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
김상우 교수님은 전자전산학과에서 학사, 바이오및뇌공학과(전, 바이오시스템학과)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
2019-01-29 -
[졸업생취재] 나도균 교수 (현, 중앙대학교)
인터뷰에 앞서 나도균 교수님의 약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 Mar 1996 – Feb 2000 B.S. Korea University, Se...
2019-01-28 -
[졸업생취재] 정동일 교수 (현, UNIST 인간공학과)
정동일 교수님은 바이오및뇌공학과(전, 바이오시스템학과)에서 학사, 박사학위를 받으시고, 6년간 버지니아...
2019-01-03 -
[졸업생취재] 최성용교수(현, 경희대학교 생체의공학과)
인터뷰 기사에 앞서 최성용 교수님의 약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1999. 3. ~ 2003. 8 B.S. Department of Me...
2018-12-20 -
[졸업생취재] 김민석 교수 (현, DIGST 뉴바이올로지학과)
김민석 교수님은 바이오및뇌공학과(전, 바이오시스템학과)에서 석사, 박사학위를 받으시고, 6년간 삼성종합...
2018-12-05 -
[졸업생취재] 강주헌 교수(현, UNIST Biomedical Engin...
인터뷰 기사에 앞서 강주헌교수님의 약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Biomed...
2018-11-26 -
[졸업생취재] 남호정 교수 (현, GIST 전기전자컴퓨터공...
남호정 교수님은 전산학과에서 석사 학위, 바이오및뇌공학과(PI 이도헌 교수님)에서 박사 학위를 받으시고 4...
2018-11-01 -
[졸업생취재] 최명환 교수(현, 성균관대 글로벌바이오...
인터뷰 기사에 앞서 최명환교수님의 약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03/2015~present Assistant professor Departm...
2018-10-26 -
[학과 교수 취재] 조영호 교수, 『이것이 이공계다』 출간
지난 8월 조영호 교수님의 저서 『이것이 이공계다』가 출간되었다. 조영호 교수님은 UC 버클리(Univ. of Ca...
2018-10-16 -
[졸업생취재] 정인경 교수(현, KAIST 생명과학과)
정인경 교수님은 2006년 바이오시스템 (현 바이오및뇌공학) 에서 B.S, 2011년 바이오및뇌공학 (PI 김동섭 교...
2018-10-16 -
[연구실 대표 취재] 단백질 생물 정보학 연구실
8월 10일 금요일, 단백질 생물 정보학 연구실의 랩대표 손정태 학생과 인터뷰를 가졌습니다. Q. 연구실에 대...
2018-09-03 -
[봄학기 CA 취재] 김효민(CA장)과 김준희 조교
이번 학과 취재 인터뷰는 2018년 봄학기 동안 CA(학사과정 학업 및 진로 상담) 활동하셨던 김효민 CA장과 김...
2018-09-03 -
[연구실 대표 취재] 바이오영상신호처리연구실
Q. 안녕하세요. Bio Imaging, Signal Processing & Learning(BISPL) LABORATORY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
2018-08-01 -
[연구실 대표 취재] 생물정보학 및 합성생물학 연구실
Q. 연구실에 대해 간단히 소개 해주실 수 있을까요? 저희 연구실은 이관수 교수님의 지도 하에 분자 수준에...
2018-08-01 -
[연구실 대표 취재] 바이오정보시스템 연구실
Q. 안녕하세요. BIO-INFORMATION SYSTEM LABORATORY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려도 될까요? 저희 연구실...
2018-07-03 -
[연구실 대표 취재] 시스템생물학 및 바이오영감공학 ...
6월 4일 월요일, 시스템생물학 및 바이오영감공학 연구실의 랩대표 강의룡 학생과 인터뷰를 가졌습니다. Q. ...
2018-06-04 -
[연구실 대표 취재] 나노감응시스템연구실
Q. 안녕하세요. 나노감응시스템 연구실 (NanoSentuating System Laboratory)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려...
2018-05-30 -
[연구실 대표 취재] 오믹스연구실
화창한 5월 3일 목요일, OMICS 연구실의 박사과정 방효은 (랩대표), 장기원 학생과 인터뷰를 가졌습니다. Q....
2018-05-03 -
[연구실 대표 취재] 바이오인터페이스전자소자 연구실
Q. 안녕하세요. 바이오인터페이스 전자소자(BIE) 연구실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려도 될까요? 현대 시...
2018-04-30 -
[연구실 대표 취재] 신경공학연구실
4월 19일 목요일, 신경공학 연구실의 랩대표인 박사과정 김대정 학생과의 인터뷰를 가졌습니다. Q. 연구실에...
2018-04-19 -
[연구실 대표 취재] 인지신경영상 연구실
3월 21일 수요일, 인지신경영상 연구실 랩대표인 정진용 학생과의 인터뷰를 가졌습니다. 정진용 학생은 KAIS...
2018-04-03 -
[연구실 대표 취재] 자기공명영상 연구실
Q. 안녕하세요. 자기공명영상(MRI) 연구실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부탁드려도 될까요? 저희 연구실에서는 인...
2018-04-03 -
[연구실 대표 취재] 시각신경시스템 연구실
인터뷰는 2월 19일 월요일, 양분순 빌딩 3층 복도에서 진행되었다. 최우철 석박사통합과정 학생은 카이스트 ...
2018-03-20 -
[연구실 대표 취재] 계산 신경 생리학 연구실
Q. 간단하게 연구실 소개 부탁 드립니다. A. 우리 연구실의 목표는 뇌 기능의 일반원리 (the general princi...
2018-03-20 -
[연구실 대표 취재] 바이오포토닉스 연구실
Q. 연구실 소개를 간단하게 부탁 드립니다. A. 저희는 의광학기술을 바탕으로 내시현미경 (Micro-endoscopy)...
2018-03-20 -
[연구실 대표취재] 나노바이오공학연구실
Q. 연구실 소개를 간단하게 부탁 드립니다. A. 저희 연구실은 박제균 교수님의 지도 아래 2018년 기준으로 ...
2018-01-31 -
[연구실 대표 취재] 뇌기계지능 연구실
인터뷰는 1월 26일 금요일, 뇌기계지능 연구실 (양분순 401호)에서 진행되었다. 컴퓨터 앞에서 연구에 열중...
2018-01-31 -
[연구실 대표 취재] Memory and Cognition 연구실
Interviewer: 이근민 Interviewee: 강준영 간단한 연구실 소개 및 설명 부탁드립니다. 우리 연구실은 기억에...
2018-01-31 -
[연구실 대표 취재] 신경물리학 연구실
[연구실 대표 취재] 신경물리학 연구실 – 이정민 박사과정 학생 인터뷰는 12월 28일 목요일, 신경물리학 연...
2017-12-31 -
[학과 교수 취재] 박성홍 교수
자기공명영상 연구실 박성홍 교수님. 20년간 자기공명영상 기술을 연구하시며, 현재 해당 분야를 선도하고 ...
2017-12-31 -
[연구실 대표 취재] 세포신호및생체영상 연구실
세포신호및생체영상 연구실 Interviewer: 이근민 Interviewee: 최호준 연구실에 대한 간단한 소개 부탁드립...
2017-12-31 -
[연구실 대표 취재] 생체재료공학연구실
Q. 연구실 소개를 간단하게 부탁 드립니다. A. 저희 연구실은 생체재료공학 연구실(Biomaterials Engineerin...
2017-11-30 -
[학과 교수 취재] 피오릴로 교수 (Prof. Fiorillo)
Interviewee: Prof. Fiorillo Interviewer: 이근민 (KeunMin Ken LEE) What is your current research about...
2017-11-30 -
[학과 교수 취재] 예종철 교수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님을 취재하다 바이오영상신호처리 연구실 예종철 교수님 인터뷰는 11월 16일 ...
2017-11-30 -
[연구실 대표 취재] 생물물리학/바이오나노구조 연구실
간단한 연구실 소개 부탁드립니다. 어떤 연구를 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바이오및뇌공학과 생물물리학/바...
2017-10-30 -
[연구실 대표 취재] 생체미세환경 연구실
[연구실 대표 취재] 김효민 박사과정 – 생체미세환경 연구실(BIMIL) 우리 과의 김필남 교수님께서 이끌고 계...
2017-10-30 -
[학과 교수 취재] 이수현 교수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님을 취재하다 - 기억인지연구실 이수현 교수님 인터뷰는 2017년 10월 30일, 이...
2017-10-30 -
[학과 교수 취재] 박지호 교수
[학과 교수 취재] 박지호 교수 박지호 교수님은 미국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에서 재료공학과...
2017-09-30 -
[학과 교수 취재] 이상아 교수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님을 취재하다 인지발달연구실 이상아 교수님 인터뷰는 9월 27일 화요일, 카이...
2017-09-30 -
[학과 교수 취재] 조영호 교수
2017년 봄학기 학과연구성과취재 조영호 교수님 Interviewee: 조영호 교수님 Interviewer: 한윤호 조교 Q1. ...
2017-09-30 -
2017 봄학기 학과 성과 취재 조교 활동을 마치며
취재 조교: 김래영, 송영조, 한윤호 2017년 봄학기 학과 성과 취재 조교 활동이 마무리되었습니다. 활동이 ...
2017-08-31 -
[학과 교수 취재] 이도헌 교수. 모든 문제는 해법이 있...
바이오정보시스템 연구실 이도헌 교수님 어떤 계기로 바이오정보학(bioinformatics) 분야를 연구하게 되셨나...
2017-07-30 -
[학과 교수 취재] 박제균 교수
Interviewee: 박제균 교수님 Interviewer: 한윤호 조교 Q1. 교수님께서는 2002년부터 카이스트에서 교수직을...
2017-07-30 -
[학과 교수 취재] 남윤기 교수
- 신경 공학 연구실, 남윤기 교수님 인터뷰는 7월 25일 화요일, 교수님의 사무실에 진행되었다. 평소에 학과...
2017-07-30 -
[학과 교수 취재] 김필남 교수
Interviewee: 김필남 교수님 Interviewer: 한윤호 조교 Q1. 교수님께서는 서울대학교에서 대학원 및 포닥(박...
2017-06-30 -
[학과 교수 취재] 김동섭 교수. 할 수 있는 일에 최선...
생물정보학 및 전산생물학 연구실 김동섭 교수님 교수님의 연구 분야에 관해 설명해 주세요. 어떤 연구를 하...
2017-06-30 -
[학과 교수 취재] 정용 교수
- 인지신경영상 연구실, 정용 교수님 인터뷰는 5월 16일 화요일, 교수님의 사무실에 진행되었다. 사무실 위...
2017-06-30 -
[학과 교수 취재] 이관수 교수
학부 전공이 생물학인데 어떻게 생물정보학 연구를 하게 되셨나요? 학부 때 생물학을 전공했지만 스스로 화...
2017-05-30 -
[학과 교수 취재] 최철희 교수
Interviewee: 최철희 교수님 Q1. 교수님께서는 세포 신호전달, 생체의학 이미징, 바이오광학, 엑소좀 등 다...
2017-05-30 -
[학과 교수 취재] 이상완 교수
- 뇌기계지능 연구실, 이상완 교수님 인터뷰는 5월 15일 월요일, 교수님의 사무실에 진행되었다. 사무실에 ...
2017-05-30 -
[학과 교수 취재] 백세범 교수
- 시각신경시스템 연구실, 백세범 교수님 인터뷰는 4월 21일 금요일, 교수님의 사무실에서 진행되었다. 교수...
2017-04-30 -
[학과 교수 취재] 최정균 교수
1. 교수님께서는 KAIST에서 학부와 대학원 과정을 모두 마치시고 교수로 임용되셨습니다. 학교 생활을 하실 ...
2017-04-30 -
[학과 교수 취재] 조광현 교수. 자신만의 질문과 그 대...
시스템생물학 및 바이오영감공학 연구실 조광현 교수님 인터뷰 어떤 계기로 시스템생물학을 연구하게 되셨나...
2017-04-30 -
빛과 전기로 세포를 움직이는 법 새로운 광전자 유체 ...
우리 학과 박제균 교수 연구팀이 세포와 마이크로 입자의 패터닝이 가능한 광전자적 유체 프린팅 시스템을 ...
2017-03-30 -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MRI 이미지 결함 수정법 개발
박성홍 박사 연구팀은 인공신경망 기법은 MRI 데이터에 적용해 MRI 이미지 결함을 수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2017-03-30 -
X-ray를 이용하여 세포막간과 콜레스테롤 농도의 관련...
세포의 세포막에는 여러 구성성분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콜레스테롤은 세포막의 유동성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2017-03-30 -
안정적인 대면적의 세포막 모델을 구축할 수 있는 시스...
세포의 세포막은 여러 종류의 단백질과 탄수화물을 비롯하여 주성분은 인지질로 이루어져 있다. 이 인지질은...
2017-01-17 -
초고민감 실리콘 나노 박막의 유전체 메타물질 개발
지난 11월 우리 학과 정기훈 교수 연구팀은 미세한 양의 생화학 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유전체 메타물질을 ...
2017-01-17 -
인간의 뇌를 모방한 음성 인식 기술 개발
지난 11월 우리학과 조광현 교수 연구팀은 뇌가 음성을 인지하는 메커니즘을 모방하여 노이즈 대비 신호 분...
2017-01-17 -
3차원 DNA 구조를 통한 중요 발암인자 발굴 및 인공지...
암의 원인이 되는 ‘driver mutation’을 찾는 것은 암 유전체학에서 가장 중요하며 어려운 문제 중 하나이다....
2016-12-19 -
알츠하이머 병과 관련된 타우 단백질의 역할 메커니즘 ...
연구 분야의 트렌드 2015년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2020년에는 전체 노인 인구 중 치매환자의 비중이 10...
2016-12-19 -
생체의 안전벨트 역할을 해낼 수 있을까, 더블 네거티...
지난 9월, 우리학과 조광현 교수 연구팀은 체내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빠르기를 탐지하는 신호전달물질 네트...
2016-12-19 -
고감도 화학물질 검출을 위한 사용자 친화적 툴 개발
지난 10월, 우리학과 박제균 교수 연구팀은 기존 상용화에 어러움이 있었던 고감도 화학물질 검출 시스템을 ...
2016-12-19 -
혈중 암세포 진단을 위한 양면형 진단 장치의 개발
지난 10월 우리학과 조영호 교수 연구팀은 혈액 속에 존재하는 암세포를 진단하는데 필요한 양면형 진단 장...
2016-12-19 -
뇌 영상 분석 위한 새로운 통계 분석법 개발
지난 9월 우리학과 정용 교수 연구팀은 뇌 영상 신호 분석을 위한 새로운 통계 분석법을 발표했다. 본 연구 ...
2016-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