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및뇌공학과(Department of Bio and Brain Engineering)는 궁극적으로 뇌를 포함한 생명체에 관련된 지식을 발견하고, 이를 공학적으로 응용한 기술을 개발하고 산업화함으로써,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정보기술 (IT)과 나노기술 (NT) 지식이 융합된 인력을 양성하여 배출합니다
SPOTLIGHT
-
석사과정 박대혁 (지도교수 : 김철), 2025 Chip Design Contest 수상
포항에서 개최된 "2025 Chip Design Contest (2025. 7. 4. ~ 2025. 7. 5.)"에서 김철 교수님 연구실 석사과정 박대혁 학생이 "On-Device Fetal ECG Extraction Using NEO-Based Adaptive Predictor for Prenatal Healthcare"라는 주제로 포스터를 발표하고, 최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2025-07-08
-
박사과정 김기범 (지도교수 : 정기훈), 2025 OMN 수상
태국 치앙마이에서 7.13~7.18까지 개최된 202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Optical MEMS and Nanophotonics (OMN 2025)에서 “Real-time Dual-functional Monitoring of Temperature and Fluorescence using Flat-field Lens Grating Microspectrometer Integration” 이란 제목으로 구두발표를 진행하고, 최우수 논문상(Best Paper Ward)을 수상하였습니다.
2025-07-30
-
KAIST BBE Bay Area Research Exchange (June. 22 2025)
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학과가 미국 서부를 방문하여 UC Berkeley, UCSF, Stanford의 연구자 및 실리콘 밸리 소재 기업가들과 함께 바이오 융합 워크숍을 개최하였습니다. 한국과 하이브리드로 진행된 본 행사에는 미국 현지에서 50여명, 온라인 90여명이 참여하였습니다.
2025-07-24
-
박제균·남윤기 교수 공동연구팀, 6배 정밀한 3D 뇌 모사 플랫폼 구현 성공
< (왼쪽부터) 바이오및뇌공학과 윤동조 박사, 박제균 교수, (우측 상단) 남윤기 교수, 김수지 박사 > 기존의 3차원(3D) 신경세포 배양 기술은 뇌의 복잡한 다층 구조를 정밀하게 구현하기 어렵고, 구조와 기능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플랫폼이 부족해 뇌 연구에 제약이 있었다. 우리 연구진이 뇌처럼 층을 이루는 신경세포 구조를 3D 프린팅 기술로 구현하고, 그 안에서 신경세포의 활동까지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통합 ...
2025-07-23
-
박사과정 장혜진 (지도교수 : 정기훈), 2025 한국광학회 하계 학술발표회 수상
제주에서 개최된 "한국광학회 2025 하계 학술발표회"에서 박사과정 장혜진 학생 (지도교수 : 정기훈)이 "Design of Photothermal-Integrated Centrifugal Disc with Structure-guided Partitioning for Digital PCR" 라는 주제로 포스터 발표를 진행하였으며,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2025-07-23
-
석사과정 박대혁 (지도교수 : 김철), 2025 Chip Design Contest 수상
포항에서 개최된 "2025 Chip Design Contest (2025. 7. 4. ~ 2025. 7. 5.)"에서 김철 교수님 연구실 석사과정 박대혁 학생이 "On-Device Fetal ECG Extraction Using NEO-Based Adaptive Predictor for Prenatal Healthcare"라는 주제로 포스터를 발표하고, 최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2025-07-08
-
박사과정 김기범 (지도교수 : 정기훈), 2025 OMN 수상
태국 치앙마이에서 7.13~7.18까지 개최된 202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Optical MEMS and Nanophotonics (OMN 2025)에서 “Real-time Dual-functional Monitoring of Temperature and Fluorescence using Flat-field Lens Grating Microspectrometer Integration” 이란 제목으로 구두발표를 진행하고, 최우수 논문상(Best Paper Ward)을 수상하였습니다.
2025-07-30
NEWS
-
(정기세미나) 2025.05.14, P...
박정환 사무관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 ...
E16-1 양분순빌딩 #2072025.05.14, PM 4:00~5:15
-
(정기세미나) 2025.06.04, P...
이혜선 교수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E16-1 양분순빌딩 #2072025.06.04, PM 4:00~5:15
-
(정기세미나) 2025.05.28, P...
우세준 교수
Seoul National University ...
E16-1 양분순빌딩 #2072025.05.28, PM 4:00~5:15
-
(정기세미나) 2025.05.21, P...
여인성 교수
Department of Prosthodonti...
E16-1 양분순빌딩 #2072025.05.21, PM 4:00~5:15
-
(정기세미나) 2025.05.14, P...
박정환 사무관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 ...
E16-1 양분순빌딩 #2072025.05.14, PM 4:00~5:15
-
(정기세미나) 2025.06.04, P...
이혜선 교수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E16-1 양분순빌딩 #2072025.06.04, PM 4:00~5:15
-
(정기세미나) 2025.05.14, P...
박정환 사무관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 ...
E16-1 양분순빌딩 #2072025.05.14, PM 4:00~5:15
-
(정기세미나) 2025.06.04, P...
이혜선 교수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E16-1 양분순빌딩 #2072025.06.04, PM 4:00~5:15
-
(정기세미나) 2025.05.28, P...
우세준 교수
Seoul National University ...
E16-1 양분순빌딩 #2072025.05.28, PM 4:00~5:15
-
(정기세미나) 2025.05.21, P...
여인성 교수
Department of Prosthodonti...
E16-1 양분순빌딩 #2072025.05.21, PM 4:00~5:15
-
(정기세미나) 2025.05.14, P...
박정환 사무관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 ...
E16-1 양분순빌딩 #2072025.05.14, PM 4:00~5:15
-
(정기세미나) 2025.06.04, P...
이혜선 교수
카이스트 바이오 및 뇌공학과
E16-1 양분순빌딩 #2072025.06.04, PM 4:0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