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eng_admin
2019-10-16 09:28:44
0
1363
우리학과 최정균 교수 연구팀은 삼성서울병원 이세훈 교수를 비롯한 임상 연구팀과 함께 항암 면역치료에 대한 반응성 예측에 관한 연구결과를 2019년 10월 네이쳐 커뮤니케이션스지에 게재하였다.
최근 큰 주목을 받고 있는 항암면역치료의 경우 차세대 항암치료로서 각광을 받고 있지만 매우 고가의 치료비용에도 불구하고 치료에 반응을 보이는 환자의 비율이 20% 정도에 불과하여 어떤 유전체적 특성이 면역치료에 대한 반응성의 마커로 사용될 수 있는지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정균 교수 연구팀에서는 유전체/후성유전체/전사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그 중에서도 DNA methylation 이라는 후성유전체 정보가 항암면역치료의 주요한 마커로 작용할 수 있다는 최초의 발견과 함께 그 작용기작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